본문 바로가기
역사

유럽 마녀사냥의 배경과 전개: 마녀의 망치

by hislish 2025. 5. 7.

유럽 마녀사냥의 배경과 전개: 마녀의 망치

 

 

목차

 

 

마녀사냥의 기원과 배경

중세 유럽에서 마녀사냥이 본격화되기 전까지, 이단 심문은 주로 기독교 교리에 반하는 사상을 억제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15세기에 접어들며 ‘악마와의 계약’을 맺은 마녀들이 인간 사회를 파괴하고 있다는 믿음이 확산되면서, 마녀사냥은 단순한 종교 문제를 넘어 사회적 공포와 정치적 도구로 기능하기 시작했습니다.

 

 

교황 인노켄티우스 8세와 마녀사냥의 제도화

1484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8세(Pope Innocent VIII)는 ‘서문(Papal Bull) Summis desiderantes affectibus’를 발표하며 마녀사냥을 공인합니다. 이 칙령은 마녀들이 악마와 결탁하여 농작물과 가축, 심지어 인간 생명까지 해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도미니크회 수도사들에게 마녀 색출과 처벌을 명령했습니다. 이로써 마녀사냥은 교황청의 권위를 바탕으로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는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됩니다.

 

마녀사냥-마녀의-망치

 

『마녀의 망치』와 마녀사냥의 확산

1487년, 도미니크회 수도사 하인리히 크라머야콥 슈프렌거Malleus Maleficarum - 말레우스 말레피카룸』(마녀의 망치)를 저술합니다. 이 책은 마녀의 존재를 논증하고, 고문을 통해 자백을 받아내는 절차, 법적 처벌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마녀사냥의 매뉴얼이 되었습니다. 특히 여성, 특히 독신이거나 사회적 약자인 여성들이 마녀로 지목되기 쉬운 논리를 담고 있어 수많은 희생자를 낳게 만들었습니다.

 

르네상스 시대와 마녀사냥의 역설

르네상스는 인문주의, 과학, 예술이 꽃피는 시기였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시기는 마녀사냥이 정점에 달한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인간 이성과 관찰이 강조되는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불확실성과 재난을 마녀의 소행으로 돌리며 처형을 정당화했습니다. 르네상스의 과학 발전이 마녀의 존재를 부정하는 데 사용되기보다는 오히려 마녀를 '자연의 질서를 교란하는 존재'로 인식하게 한 배경이 된 셈입니다.

 

마녀사냥-성직자들

 

종교개혁과 마녀사냥의 분화

16세기 종교개혁은 마녀사냥에 새로운 국면을 가져왔습니다.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가 서로를 이단으로 규정하면서, 양측 모두 마녀사냥을 자국 내 질서 확립과 종교적 정당성 확보의 수단으로 활용했습니다. 마틴 루터 또한 마녀의 존재를 인정하며 강경한 입장을 취했으며, 개신교 지역에서도 마녀사냥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즉, 종교개혁은 마녀사냥을 멈추게 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가속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마녀사냥은 어떻게 끝났을까?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에 걸쳐 마녀사냥은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배경에는 계몽주의의 확산, 이성 중심의 사유 방식, 과학적 사고, 그리고 국가 사법제도의 정비가 있었습니다. 종교적 열광주의가 약화되고, 형법과 재판 절차가 제도화되면서 비이성적인 고문과 증언에 의존하던 마녀재판은 설 자리를 잃었습니다.

 

가장 유명한 마녀사냥의 마지막 사례 중 하나는 1692년 미국 세일럼 마녀재판이며, 유럽에서는 스위스에서 1782년 안나 괄디(Anna Göldi)가 처형되며 종식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로써 수백 년간 지속된 마녀사냥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습니다.

 

결론

마녀사냥은 미신이나 종교적 광신으로만 설명할 수 없습니다. 교황 인노켄티우스 8세의 칙령, 『마녀의 망치』 같은 제도적 도구,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이라는 거대한 사상적 격변이 서로 얽히며 수많은 여성과 사회적 약자를 희생시킨 역사였습니다. 이 비극의 역사는 오늘날에도 '편견과 공포가 어떻게 제도화될 수 있는가'를 경고하는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