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without saying, Out of spite | 영 셸던 시즌1 6화 영어표현 총정리
미드 '영 셸던(Young Sheldon)' 시즌1 6화 '패치, 모뎀, 위장약' 편입니다. 'go without saying', 'out of spite'의 의미와 그 밖에 6화에 나온 영어표현들을 총정리했습니다.
목차
- To be clear
- set out to (do something)
- Unravel the inner workings of (something)
- Put together
- Go without saying
- Take out (a loan, insurance, subscription)
- Let (something) slide
- Tighten one's belt
- Tread lightly
- Be prone to
- A pain in the ass
- Out of spite
- Straighten (something) out
- For Pete's sake
- Groundbreaking (work/research/idea)
- 시간
- 목 오후 8:30 (2017-09-25~2018-05-10)
- 출연
- 이안 아미티지, 조 페리, 랜스 바버
- 채널
- 미국CBS
학교에 찾아온 NASA 과학자가 셸던의 과학적 제안을 무시한다.
그러자 셸던은 그 과학자가 틀렸다는 걸 증명하기 위한 작전을 돌입한다.
영 셸던 시즌1, 6화 속 영어표현
1. To be clear
To be clear, they were all over 18.
혹시나 해서 말하는데, 다들 18살 이상이었어.
To be clear: 분명히 하자면 / 오해하지 말고 들어 / 확실히 말하면
- 앞뒤 내용을 명확하게 정리하거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
- 강조 또는 정정의 역할
- 회의, 이메일, 대화 등에서 자주 사용됨 (비즈니스 & 일상 모두)
- 예문:
"To be clear, I'm not upset—I just need some time to think." (확실히 말하지만, 나 화난 거 아니야—생각할 시간이 좀 필요할 뿐이야) - 비슷한 표현:
- Let me be clear: 분명히 말하자면
- Just so we’re clear: 오해 없게 하자면
- For clarity’s sake: 명확하게 하자면
2. set out to (do something)
We can set out to explore the solar system, we've got a few minor problems to overcome.
물론 태양계를 탐험하기 전에, 몇 가지 사소한 문제를 해결해야 해.
set out to (do something): ~하려고 나서다, ~을 목표로 시작하다, 어떤 일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다
- "Set out to"는 어떤 목표나 계획을 가지고 뭔가를 하려고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상황에서 사용
- 단순한 시작이 아니라 의지와 방향성이 있는 출발
- 일상 대화부터 에세이, 뉴스 기사, 다큐멘터리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
- 예문:
We set out to build a new community center.
(우리는 새로운 커뮤니티 센터를 짓기 위해 시작했다) - 비슷한 표현:
- Start off to: ~하려고 시작하다
- Begin a mission to: ~를 목표로 활동을 개시하다
- Launch into: 본격적으로 ~에 착수하다
3. Unravel the inner workings of (something)
I usually respond by saying I wanted to unravel the inner workings of the universe.
그럼 나는 보통 우주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밝히고 싶었다고 대답한다.
Unravel the inner workings of (something): ~의 작동 원리를 파헤치다, 내부 구조를 이해하다
- "Unravel the inner workings of"는 복잡하거나 잘 드러나지 않는 시스템이나 구조의 속사정, 작동 원리, 본질적인 구조를 하나씩 이해하고 분석하려는 행동을 표현
- 과학, 철학, 기술, 인간 심리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본질을 파헤칠 때 자주 사용
- ‘unravel’은 실타래를 푸는 것처럼 복잡한 것을 하나씩 풀어낸다는 뉘앙스
- 예문:
Scientists are working to unravel the inner workings of the human brain. (과학자들은 인간 두뇌의 작동 원리를 밝히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 - 비슷한 표현:
- Understand the mechanism behind: ~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다
- Explore the structure of: ~의 구조를 탐구하다
- Dig into how something works: ~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파고들다
- Get to the bottom of something: ~의 근본 원인을 밝히다
4. put together
I'm putting together my last will and testament.
유언장을 작성했어.
Put together (something): ~을 준비하다, 정리하다, 구성하다
- 'Put together'는 여러 요소를 모아 하나의 완성된 형태로 만들거나 정리하는 상황에서 사용
- 서류, 계획, 행사, 프레젠테이션 등 공식적·비공식적인 작업에 모두 사용
- 창작, 기획, 조립, 정리의 의미가 모두 포함되어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됨
- 예문:
She's putting together a proposal for the new marketing campaign. (그녀는 새 마케팅 캠페인을 위한 제안서를 준비 중이다) - 비슷한 표현:
- Compile: 자료 등을 모아서 하나로 엮다
- Draw up: 공식적인 문서를 작성하다
- Arrange: 일정·행사 등을 정리하거나 준비하다
- Organize: 체계적으로 정리하다, 조직하다
- Assemble: 부품이나 사람 등을 모아 조립하거나 구성하다
5. Go without saying
Well, now that goes without saying.
그래, 두말하면 잔소리지.
Go without saying: 말할 필요도 없다, 너무 당연하다
- 'Go without saying'은 어떤 사실이나 상황이 너무 자명해서 굳이 말하지 않아도 모두가 동의하거나 이해하는 경우에 사용
- 주로 말의 전제를 강조하거나, 동의를 표현하면서 부드럽게 넘길 때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 형태로도 자주 사용됨
- 예문:
It goes without saying that health comes first. (건강이 우선이라는 건 두말할 필요도 없다) - 비슷한 표현:
- Needless to say: 말할 필요도 없이
- Obviously: 분명히, 명백하게
- Of course: 물론이지, 당연하지
- That’s a given: 그건 당연한 거야
- Clearly: 분명히, 확실히
6. take out (a loan, insurance, subscription)
I'm interested in taking out a second mortgage.
2순위 저당을 신청하려고요.
Take out (a loan, insurance, subscription 등): (대출·보험·서비스 등을) 신청하다, 가입하다, 체결하다
- 'Take out'은 금융·행정적 맥락에서 공식적으로 계약을 맺거나 신청하여 얻는 행위
- 대출, 보험, 신용카드, 인터넷 서비스, 신문 구독 등 다양한 항목에 사용
- ‘취득하다’, ‘개설하다’, ‘가입하다’로 자연스럽게 번역할 수 있음
- 예문:
She took out a large life insurance policy last year. (그녀는 작년에 큰 금액의 생명보험에 가입했다) - 비슷한 표현:
- Apply for: 신청하다
- Arrange: (대출 등을) 준비하다, 체결하다
- Obtain: (공식적으로) 얻다, 취득하다
- Sign up for: 가입하다
- Enroll in: 등록하다 (특히 교육·서비스 관련)
7. Let (something) slide
But I'm willing to let it slide.
하지만 못 들은 걸로 할게요.
Let (something) slide: 문제 삼지 않다, 그냥 넘어가다
- ‘Let it slide’는 원칙적으로는 지적하거나 따져야 할 일이나 실수 등을 일부러 눈감아 주거나, 신경 쓰지 않고 넘기는 행동
- 친근한 대화나 타협의 순간에서 자주 쓰이며, '한 번 정도는 봐줄게' 같은 느낌
- 감정적으로는 관대함, 피곤함, 무관심 등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음
- 예문:
He was late again, but I decided to let it slide. (그가 또 늦었지만 그냥 넘어가기로 했다) - 비슷한 표현:
- Overlook: 못 본 척하다
- Ignore: 무시하다
- Let it go: 흘려보내다, 잊다
- Brush it off: 털고 넘기다
- Cut someone some slack: 한 번 봐주다
8. tighten one's belt
If we tighten our belts, we'll have sufficient equity for the loan.
우리가 허리띠를 졸라매면 대출받을만한 자산은 될 거예요.
Tighten one’s belt: 허리띠를 졸라매다, 소비를 줄이다, 절약하다
-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에서 생활비나 소비를 줄이겠다는 결심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
- 직역하면 허리띠를 더 조인다는 뜻이지만, 비유적으로는 검소한 생활, 예산 절감의 의미
- 주로 가족, 기업, 정부의 재정 상황과 관련된 뉴스나 회화에서 자주 등장
- 예문:
After the layoffs, everyone had to tighten their belts for a while. (감원 이후에 모두가 한동안 절약해야 했다) - 비슷한 표현:
- Cut back on spending: 지출을 줄이다
- Live frugally: 검소하게 살다
- Make do with less: 적은 것으로 견디다
- Budget carefully: 신중히 예산을 짜다
- Economize: 절약하다
9. Tread lightly
Tread lightly, my friend
말조심해, 친구
Tread lightly: 신중히 행동하다, 조심스럽게 처신하다
- ‘Tread’는 원래 ‘밟다, 걷다’는 뜻으로, ‘tread lightly’는 말 그대로 가볍게 발을 디뎌라, 즉 조심스럽게 행동하라는 의미
- 상대방의 감정을 건드릴 수 있는 민감한 상황이나 갈등이 생길 수 있는 상황에서 주의를 당부할 때 사용
- 협상, 인간관계, 갈등 상황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
- 예문:
You’re entering dangerous territory—tread lightly.
(넌 지금 위험한 영역에 들어가고 있어—조심해) - 비슷한 표현:
- Be careful what you say: 말 조심해
- Watch your step: 말이나 행동을 조심해
- Handle with care: 조심해서 다뤄
- Proceed with caution: 조심해서 진행해
- Mind your tone: 말투 조심해
10. be prone to (something)
But as a child, I was prone to the occasional meltdown.
나는 어렸을 때 가끔 맨탈이 쉽게 흔들리곤 했다.
Be prone to (something): ~하는 경향이 있다, ~에 취약하다
- ‘Be prone to’는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자주 일어나거나 쉽게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냄
- 보통 부정적인 성향이나 습관, 병, 감정 등과 함께 자주 쓰임
- 형용사 ‘prone’은 기울어진, 쏠린 의미에서 유래해, 한쪽 방향(특히 좋지 않은 쪽)으로 쉽게 흐른다는 뉘앙스
- 예문:
He's prone to anxiety before exams.
(그는 시험 전에 불안해하는 경향이 있다) - 비슷한 표현:
- Tend to: ~하는 경향이 있다
- Be susceptible to: ~에 민감하다, 취약하다
- Be inclined to: ~하는 성향이 있다
- Be vulnerable to: ~에 취약하다
- Be apt to: ~하기 쉽다
11. A pain in the ass
That was different. You were a pain in the ass.
그거랑 다르지. 넌 성가셨잖아.
A pain in the ass: 짜증나는 사람(것), 성가신 존재
- 아주 성가시고 불편하거나 다루기 힘든 사람 또는 상황을 속되게 표현할 때 사용
- 일상 회화에서는 많이 쓰이지만, 비격식적이고 다소 무례하게 들릴 수 있는 표현
- 더 순화된 표현으로는 'a pain in the neck'
- 예문:
That guy is such a pain in the ass—I can’t work with him. (그 남자 진짜 골칫덩이야—같이 일 못 하겠어) - 비슷한 표현:
- A pain in the neck: 성가신 사람, 짜증나는 존재
- A nuisance: 성가신 존재
- A handful: 감당하기 힘든 사람
- A troublemaker: 말썽꾸러기
- An annoyance: 짜증나는 존재
12. out of spite
He's just doing it out of spite.
앙심을 품고 하는 거예요.
Out of spite: 앙심에서, 괜히 심술나서, 악의로
- 'Spite'는 상대방에게 해를 끼치고 싶은 마음 또는 약 올리려는 의도
- 'Out of spite'는 누군가가 순전히 악의나 심술로 행동할 때 사용
- 의도적으로 상대방을 불편하게 하거나 골탕 먹이려는 감정
- 예문:
She refused to come, just out of spite. (그녀는 괜히 심술 나서 안 온 거야) - 비슷한 표현:
- Out of malice: 악의로
- Just to be difficult: 일부러 귀찮게 하려고
- Out of resentment: 분노/원한에서
- In a mean spirit: 못된 마음으로
- Just to get back at (someone): 복수하려고
13. straighten (something) out
We're going to Houston to straighten this thing out for your brother, then we're going home.
휴스턴에 가서 셸던 일을 바로잡은 다음 집에 갈 거야.
Straighten (something) out:
문제를 해결하다, 정리하다, 바로잡다
- ‘Straighten out’은 얽히고 복잡해진 문제나 상황을 바르게 정리하거나 해결하는 과정
- 실수, 오해, 금전 문제, 행정 문제 등 꼬인 일을 바로잡는 데 자주 쓰임
- 일상 회화부터 비즈니스 상황까지 다양하게 사용됨
- 예문:
We need to straighten out this billing error. (이 청구 오류부터 바로잡아야 해) - 비슷한 표현:
- Sort out: 정리하다, 해결하다
- Work out: 해결하다
- Resolve: 해결하다
- Clear up: (오해 등을) 해소하다
- Fix: 고치다, 바로잡다
14. For Pete's sake
For Pete's sake, somebody open a window.
맙소사, 누가 창문 좀 열어봐.
For Pete's sake: 제발, 도대체, 맙소사
- 감탄이나 불만, 짜증, 실망 등을 표현할 때 쓰는 완곡한 감정 표현
- 강한 감정을 부드럽게 표현하기 위해 쓰이며, “for God’s sake”의 순화 버전
- 일상 대화에서 짜증이나 간절함을 드러낼 때 자주 사용됨
- 예문:
For Pete’s sake, turn down the music! (제발 음악 좀 줄여!) - 비슷한 표현:
- For heaven’s sake: 제발, 맙소사
- For crying out loud: 제발 좀
- Good grief: 이런, 맙소사
- Oh, come on: 아 제발
- Seriously: 진짜로? (짜증 섞인 표현)
15. groundbreaking (work/research/idea)
This is groundbreaking work.
이건 획기적인 작업(연구, 성과)이야.
Groundbreaking (work/research/idea 등): 획기적인, 혁신적인, 전례 없는
- ‘Groundbreaking’은 어떤 아이디어나 연구, 프로젝트가 기존의 방식을 완전히 바꾸거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의미
- 특히 과학, 기술, 예술, 학문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선구적인 성과를 묘사할 때
- 비유적으로는 '땅을 처음으로 파는 행위'에서 유래, 새로운 영역을 개척했다는 뉘앙스
- 예문:
Her team published a groundbreaking study on cancer treatment.
(그녀의 팀은 암 치료에 관한 획기적인 연구를 발표했다) - 비슷한 표현:
- Revolutionary: 혁명적인
- Innovative: 혁신적인
- Pioneering: 선구적인
- Trailblazing: 개척적인
- Cutting-edge: 최첨단의, 앞서가는
burn the candle at both ends / knock around - 영 셸던 시즌1 5화
burn the candle at both ends / knock around - 영 셸던 시즌 1 5화미드 '영 셸던(Young Sheldon)' 시즌1, 5화 '태양열 계산기, 승리 기념구, 치어리더의 가슴' 편입니다. 'burn the candle at both ends', 'knock around'의 의미와
1.1prorich.com
get the hang of it / cutting edge – 에밀리, 파리에 가다 시즌1: 4화
미드 ‘에밀리, 파리에 가다’의 시즌1, 4화 ‘키스는 키스일 뿐’ 편 입니다. 4화에는 ‘get the hang of it’, ‘cutting edge’ 등의 영어표현들이 나오는데요.한국어를 먼저 보시고 바로 영어로 표현
1.1prorich.com
'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nky swear, throw off heat | 영 셸던 시즌1, 8화 영어표현 (0) | 2025.04.14 |
---|---|
held in low regard, black heart | 영 셸던 시즌1 7화 영어표현 (0) | 2025.04.02 |
burn the candle at both ends / knock around - 영 셸던 시즌1 5화 (0) | 2025.03.19 |
brush with death / give a whirl - 영 셸던 시즌1, 4화 (0) | 2025.03.13 |
run a tight ship / dollars to donuts - 영 셸던 시즌1 3화 (0) | 2025.03.08 |
댓글